본문 바로가기
회계 이야기/기초 회계지식

회계에서 자주 나오는 감가상각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by gamzaggang 2023. 4. 19.

Chapter21. 감가상각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까요?

 감가상각의 사용배경

 유형자산(기계장치 등)이란 영업활동에 직접 사용하는 자산입니다. 그런데 이 유형자산은 사용하면 할수록 닳거나 마모되거나 수선을 필요로 하는 등 관리를 요하는 상황들이 발생합니다. 이처럼 가치가 감소한 자산에 대해서 별도로 따져 회계 정보이용자들이 적합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가상각의 정의

 유형자산(고정자산)의 가치감소를 산정해 그 액수를 유형자산의 금액에서 공제함과 동시에 비용으로 계상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감가상각 회계처리 방법

 자산의 가치가 감소된 부분을 감가상각비라는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이에 대해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누적해 적립하는  ‘감가상각누계액’이라는 자산의 차감계정을 사용합니다. 자산과 동일하게 처리하지만 금액의 표기 자체는 (-)입니다.

 

감가상각비의 계산요소

1) 취득원가

- 구입한 경우에는 구입가격에 부대비용 가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 제작 및 건설한 경우에는 제작원가, 건설원가에 부대비용 가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 현물출자의 경우 교부된 주식의 발행가격을 말합니다.

- 교환, 증여, 무상취득의 경우 공정한 평가액을 말합니다.

2) 잔존가액

- 자산의 폐기 또는 매각 시에 받게 될 잔액으로 추정이 필요합니다.

- 회계담당자의 주관적 추정 개입, 무형자산의 잔존가액은 0입니다.

- 감가상각의 대상이 되는 금액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인데 이를 감가상각기능원가라고 합니다.

3) 내용연수

- 자산의 사용기능연수, 추정이 필요한데 세법에 규정된 내용연수를 사용해야 하고, 세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면 별도로 추정을 해야 합니다. 물리적 감가보다는 기능적 감가를 고려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현물출자 : 회사 설립 시 토지 건물과 같은 부동산, 유가증권 상품과 같은 동산 그 밖에 특허권 지상권과 같은 무형자산에 의한 출자를 말하며 엄격한 규제를 받습니다.

*증여 : 타인에게 자기 소유의 재산을 유상이나 무상으로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가상각의 회계처리 방법

1) 정액법

- 자산의 가치가 내용연수 동안 동일한 금액으로 감소한다는 가정을 해서 상각 하는 방식입니다.

- ex) 기계 사용연수 5, 구입가 1억이면, 매년 22천만 원씩 상각

2) 정률법

- 자산의 가치가 자산의 사용 가능 기간 동안 매년 동일한 비율로 감소한다는 가정을 해서 상각 하는 방식입니다.

- 즉 기계성능이 좋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마모가 가장 많다는 가정을 하는 것이죠.

3) 연수합계법

- 정액법과 정률법의 중간 정도 비율로 감가상각을 하는 것입니다. 

4) 생산량비례법

- 총생산가능량을 미리 정해 두고 매년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감가상각하는 방식입니다. 

 

 감가상각 초기에는 정률법, 감가상각 후기에는 정액법으로 산정해 비용처리를 하면 높은 금액의 감가상각비가 계산되어 법인세비용의 절감효과를 받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계처리 방법상 악용을 막기 위해 함부로 감가상각법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인세비용 : 법인기업이 1년 동안의 영업이익에 대해 내는 세금

*상각률 : 유형자산(고정자산)을 감가상각하는 비율을 의미

댓글